시사 이슈40 2021년 1월 넷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2021년 1월 넷째 주 1. [고교 교과서 70%가 천안함 폭침 누락 또는 왜곡] 아예 없거나 북한 소행 명시하지 않고 '침몰·사건' 등으로 애매하게 표현함. 그 외 북한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하고 우리나라는 '정부수립'으로 표현하는 등 우리나라 내부의 위기임 2.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 라인에는 '북한통'이 여럿 포진] 특히 웬디 셔먼 국무부장관 후보자와 국무장관 지명자 토니 블링컨은 모두 대북 압박을 강조하는 '대북제재론자'임. CIA 국장지명자 윌리엄 번스 전 국무부 부장관은 이란 핵 합의를 주도했었고 북한 핵 문제에도 밝음. CIA 부국장 내정자 데이비드 코언은 재무부 테러리즘 및 금융정보 차관도 역임한 대표적 제재론자로 일명 '대북저승사자'로도 불림 3. [북한 2인자, 조용원].. 2021. 1. 28. 2021년 1월 셋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2021년 1월 셋째 주 1. [전술핵 vs 전략핵] 전술핵은 위력이 작고 사정권이 단거리이며 핵탄두, 핵기뢰 등을 포함함. 전략핵무기는 위력이 크고 사정권이 장거리이며 대륙간탄도미사일 등을 포함함 2. [북한 8차 당대회, 전술핵 강조] 그동안 북한은 핵무기를 '대미(對美)용'이라고 선전해왔지만 사거리가 짧은 전술핵은 한국·일본이 목표임 3. [북한 8차 당대회, '첨단 전술핵무기'] 김정은은 첨단 전술핵무기라며 초대형 방사포, 신형 전술미사일, 중장거리 순항미사일 등을 언급함. 중장거리 순항미사일 개발은 이번에 처음 공개됨.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알려진 신형 전술미사일은 사거리 600km 이상으로 우리나라 전역과 일부 주일미군 기지를 사정권에 넣고 있음 * 우리군 대응: 군 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위.. 2021. 1. 20. 2021년 1월 첫째 주/둘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2021년 1월 첫째 주 / 둘째 주 1. [브렉시트] 2020년 12월 31일 밤 11시, 영국이 EU에서 공식적으로 탈퇴함. EU는 '상품 무관세' 주고, 영국은 '군사·정보' 레버리지로 압박하지 않으며 서로 양보로 일단 봉합됨 2. [북한 김정은, 신년사 없었다] 연초에 '8차 당대회'로 갈음할 듯함 3. [포스트 코로나 (코로나 이후) 시대의 키워드] - 빅브라더: 디지털 전체주의가 지배 - 가족의 재발견: 더욱 커진 정서적 안전망 - 양극화: 연령·성별 빈부격차 심화 - 탈세계화: 생산방식 자국 중심 개편 - 디지털 격차: 저소득층 정보 소외 우려 - 재택: 가장의 영역 확장 지속 - 친환경: 차 멈추니 온실가스 줄어 등 4.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비우량 주택담보 대출 5. [미국이 .. 2021. 1. 10. 2020년 주요 이슈 돌아보기 1. [3차례 코로나 대유행에 나랏빚도 급증] 코로나 대유행으로 나랏빚이 급증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 채무 비율은 처음으로 40%를 넘어 약 44%까지 치솟음 2. [연락사무소 폭파] 2020년 6월, 북한은 4.27 판문점 선언의 상징인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함 3. [봉준호, BTS 등 전세계 홀린 K무비, K팝] 2020년 2월 봉준호 감동의 '기생충'이 아카데미에서 최고상인 작품상과 감독상, 각본상, 국제극영화상까지 오스카 트로피 4개를 거머쥠. 9월에는 '방탄소년단(BTS)'의 신곡 '다이너마이트'가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음악 순위 차트 빌보드에서 '싱글 핫 100' 1위에 오름 4. [코로나, 100년만의 팬데믹 / 40국이 백신접종 개시] 스페인 독감 이후 약 100년 만에.. 2021. 1. 7. 2020년 12월 넷째 주/다섯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2020년 12월 넷째 주 / 다섯째 주 1. [대북전단금지법 관련 기사 모음] - 미국에 이어 영국 의회에서도 비판 목소리 일고 있음. "이러려고 6.25 파병한 것 아냐. 평화, 인권 지키려 한 것." 자유진영에서 소외될 우려 - 국제사회비판 일자 접경지 주민 면담 잡았으나 해외 반응은 싸늘 - 거슈먼 미국 민주주의 기금(NED, 1983년 미국 의회가 설립한 비영리 독입 단체로 북한 인권 증진에 후원) 회장, "한국이 내 발언 왜곡 인용" 분통. 북한에 외부정보 유입 계속되어야 - 국제사회 비난이 미국, 유럽연합(EU), 캐나다, 일본 등에 확산 - '인권, 표현의 자유'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 억압 우려에 '내정간섭'? - 미국 ''북한에 정보 유입되어야". 미 국무부, 대북전단금지법 반대 입장 공.. 2021. 1. 6. 2020년 12월 셋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2020년 12월 셋째 주 1. [대북전단법으로 한국도 감시대상] 미 의회 내 국제인권기구 이끄는 하원 20선 의원, "대북전단법 통과 땐 한국을 인권 감시국 명단에 올릴 수 있어" 언급함 2. [바다로 번진 브렉시트 협상 갈등] 어업권 두고 영국 vs EU 갈등 심화됨 - 영국: 어획 대폭 안 늘려주면 EU 어선의 영국 EEZ 진입 막겠다 - EU, 영국 수산물 수입 안 해 맞불 3. [노딜 브렉시트] 합의 없이 이루어진 영국의 EU 탈퇴 4. [아랍의 봄] 아랍지역의 독재체제 붕괴 운동. 이후 난민 발생 → 유럽테러 증가 → 난민 반대 등 유럽 내 극우주의 대두 → 트럼피즘 등 세계 민주주의 위기. 역설적 상황이 발생함 5. [강행 처리한 주요 법안] 공수처법 개정안 → 야당의 공수처장 거부권 무력화.. 2021. 1. 5.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