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첫째 주
1. [미중 갈등으로 위기 맞은 중국 반도체] 중국은 국유화와 일본의 반도체 전문가 브레인 영입으로 대책 마련 중임
2. [국정원의 간첩수사권 없애는 법] 국정원의 대공 수사권을 3년 유예 후 경찰에 이관 예정임. 제3국 활동 간첩 등에 대한 수사 역량이 떨어질 우려와 '공룡 경찰'이라는 우려가 있음
3. [바이든 민주주의 정상회의(Summit for Democracy) 2021년 중 개최 예정] 중국과 러시아 견제 목적으로 개최 예정임. '자유진영 vs 권위주의 국가' 진영 다툼의 서막이 될 수도 있음
4. [중국, 매출 증가한 크리스마스 시장] 코로나 시국에서 역설적으로 중국 제조업은 반등에 성공함
5. [이란의 핵과학자 암살됨] 배후 이스라엘로 추정됨. 암살된 이란 핵과학자는 북한의 핵실험 1~3차를 참관함. 북한-이란 핵개발 연계가 상당기간 지속된 것을 시사함 (한반도 이슈를 공부하려면 중동 정세도 알아야 하는 이유임)
6. [이란 혁명수비대(이란군) 장성 드론에 피격]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 내 핵심 암살 부서 '키돈'이 배후로 파악됨
7. [일본 정부, 드론 1000개 모두 일본산으로 교체] 중국의 사이버 공격에 의한 드론 정보 절취나 기체 탈최 등의 위험성 있다고 판단하여 중국이 정보를 빼가지 못하도록 일본 정부의 드론을 모두 일본산으로 교체함
8. [트럼피즘에 흔들리는 미국 정치] '강자 공화당, 약자 민주당'이라는 구조가 깨짐. 트럼피즘은 '미국 우선주의'를 중시함
9. [이란과 북한은 핵무기 상황이 완전히 다름] 이란은 핵무기 개발이 아직인데 북한은 핵무기를 사실상 보유함. 이란과 북한의 핵무기에 대한 중국의 입장도 다름. 북한 핵무기의 경우, JCPOA(이란핵합의)식 단계적 완화가 안됨. 이 합의의 핵심은 다자적 접근을 통한 단계적 주고받기이기 때문임
10. [여당, 대북전단금지법 단독 처리(외통위 전체회의)] 북한으로 전단보내면 징역 3년임
11. [미국 바이든, '아시아 차르(Asia Tsar)' 신설 검토] 아시아업무 총괄 포스트를 만드는 것으로 미국의 대중국 공조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됨
12. [북한, 셀트리온 해킹] 북한해킹 조직 '킴수키' 등이 제약사 정보에 대한 탈취를 시도함
13. [차기 한미연합사령관에 IS 격퇴한 라캐머러 대장] 한미연합사령관은 주한미군사령관과 유엔군사령관 겸직하게 되어있음
14. [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5개월만에 야권 인사 망명, 수감 줄이어] 홍콩 국가보안법은 독재정권의 민주주의 말살을 적나라하게 보여줌
* 조선일보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시사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12월 셋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0) | 2021.01.05 |
---|---|
2020년 12월 둘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0) | 2021.01.04 |
2020년 11월 넷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0) | 2020.12.15 |
2020년 11월 셋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0) | 2020.11.26 |
2020년 11월 둘째 주 최신 시사 이슈 정리 (0) | 2020.11.16 |
댓글